미국 ETF
1. 미국 ETF
펀드란, 여러 사람의 돈을 전문가가 여러 종목에 대신 투자해주는 것을 의미하며,
ETF는 Exchange Trade Fund의 약자로 일반 주식을 매매할 수 있듯이 똑같이 펀드를 하나의 종목으로 매매할 수 있는 것을 ETF라고 합니다. 즉,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함으로써 일반 주식 거래를 하듯이 쉽게 매매할 수 있는 펀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ETF는 액티브펀드보다 저렴하고 안정적이며, 낮은 수수료, 거래 투명성, 쉬운 거래 방법, 분산 투자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펀드입니다.
① 인덱스 펀드 : 패시브 펀드의 한 종류로 지수(ex S&P지수, 나스닥 지수 등)를 따라가는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가 소극적으로 개입하는 펀드입니다. 펀드 중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운용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② 액티브 펀드 :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높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높은 손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 ETF는 정확히 무엇을 구매하는 것일까요?
미국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QQQ ETF라는 것을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QQQ라는 종목의 주가는 대략 30만원이며, 구성 종목으로는 애플 11.37%, 마이크로소프트 9.44%, 아마존 8.48%, 테슬라 4.79%, 알파벳(구글) 3.59%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0만원으로 1주를 사게 되면 위 구성 종목을 퍼센트(%)별로 분배하여 투자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아마존 주식을 매수한다고 해보겠습니다. 현재 테슬라는 1주당 70만원입니다. 개인이 매수하기에는 부담이 있는 금액이며, 만약 테슬라 악재 소식으로 주가가 하락한다면 큰 손실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ETF는 여러 분야를 투자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가의 주식을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ETF의 여러가지 대분류
ETF에는 크게 3가지 운용 방식이 있습니다.
첫 번째 : 일반 투자 운용 방식
두 번째 :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상품
세 번째 : 실제 가격 변동률보다 몇 배의 투자 수익을 얻거나 손실을 얻을 수 있는 레버리지 상품
① 일반적인 투자 부분 : 투자자가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을 목표로 함
② 인버스 상품 : 영어로 inverse는 반대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주식은 상승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인버스는 주가가 상승하면 인버스는 하락하고, 주가가 하락하면 인버스가 상승하게 됩니다. 즉, 주가가 하락하는 것에 베팅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인버스 상품을 보시다 보면 "2x"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2x는 곱버스라고 부르며 코스피가 1% 하락하면 2% 수익을 얻고, 코스피가 1% 상승하면 2% 손실을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인버스 상품은 미리 예측하여 인버스 상품을 매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에게 권장하지 않습니다.
③ 레버리지 상품 : 레버리지 ETF는 주식을 매수하면, 주식을 담보로 투자 규모를 2배로 베팅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서 추종 지수가 100일 때 100원에 레버리지 ETF를 배수하였다면, 다음날 지수가 10%가 상승했다면 110원이 되어야 하지만 20%로 적용되어 120원이 되는 구조입니다. 즉 손실도 2배로 잃게 되는 구조이므로 레버리지 상품은 심사숙고하여 매수하여야 합니다.
레버리지 ETF는 전체 기간 동안의 지수 변동 폭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를 기준으로 적용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단기간 투자를 해야 합니다. 즉, 일일 정산한다는 의미입니다.
3. ETF 추천
국내에서 인기 있는 미국 ETF의 리스트와 섹터, 종목, 참고 사이트 등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주로 객관적인 내용들을 넣었지만 주관적인 의견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참고자료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① ARKK(ARK innovation ETF)
주요 종목 구성 : 테슬라 10.22%, 로쿠 5.62%, 스퀘어 5.45%, 텔라닥 헬스 5%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 설명 : ARKK의 지분 1위는 테슬라이며, 테슬라의 주가 변동에 영향을 받는 ETF입니다. 이중에 로쿠, 텔라닥헬스, 스퀘어 업체가 생소하신 분이 있을텐데 로쿠는 OTT플랫폼 관련 업체이며, 텔라닥헬스는 원격의료 관련 대장주입니다. 스퀘어는 핀테크 사업으로 미국의 모바일 결제 소프트웨어 업체입니다.
ARK 시리즈 : ARK INVEST에는 ARKK, ARKQ, ARKW, ARKG, ARKF 시리즈가 있으며 서로 추종하는 분야가 다릅니다.
-ARKK : 혁신적인 기업 위주, 전 분야에서 혁신기업들을 골라서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0년도 최고의 혁신기업은 당연 테슬라입니다. 그래서 현재도 테슬라가 10.22%로 가장 높은 %를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2020년도에 1년 상승률이 거의 150%정도가 됩니다.
-ARKQ : 자율 기술 및 로봇 관련주, 자율 기술 및 로봇이기 때문에 테슬라가 역시 포함되어 있습니다. 요즘 전기차 관련으로 자율기술이 굉장히 각광받고 있으니 ARKQ도 유심히 지켜보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ARKW : 차세대 인터넷 관련주, 차세대 인터넷 내부를 보시면 AI, 디지털 미디어,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이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하여 집에서 영화 관람을 넷플릭스로 하고, 이로 인해 넷플릭스 주가가 매우 상승하면서 ARKW ETF도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눈여겨보실 부분은 일론 머스크가 위성 인터넷 즉 스타 링크 위성 인터넷을 진행하고 있으니 이쪽 분야도 꽤 전망이 좋아보입니다.
-ARKG : 게놈(유전자)혁명 관련주, 건강, 의료, 유전자, 줄기세포 등의 바이오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코로나 사태로 바이오 산업의 중요성이 높다라는 것을 일반인도 몸소 느꼈습니다. 이로인해 바이오 산업 쪽의 높은 기대감이 생성되었으며, 인간의 생명 즉 수명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발전이 되어야 하는 분야이니 주의 깊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RKF : 핀테크 혁신 관련주, 핀테크는 쉽게 말해 모바일 결제 시스템, 전자상 거래, 블록체인 기술 등을 말합니다. 특히 비트코인으로 예를 들면 쉽게 이해하실 겁니다. 이 부분은 개인마다 의견이 극단적으로 갈리기에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2021년 2월에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에 투자했다는 말 한마디에 엄청난 상승이 있었으나, 현재는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 곧 ARKX라는 ETF가 출시됩니다. 우주 산업 관련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초기에 매수 기회가 있다면 아주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거라 판단됩니다.
배당금 관련 : 1년에 1번 배당을 받을 수 있으며, 배당기준일은 연말일입니다. 배당금은 현재 2,000원을 조금 넘는 수준이며, 연간 배당수익률이 1.6% 정도 됩니다.
수수료 : 연간 운용비용은 0.75%입니다.
참고 사이트 : ark-funds.com
② QQQ(invesco QQQ Trust)
주요 종목 구성 : 애플 11.23%, 마이크로소프트 9.45%, 아마존 8.38%, 테슬라 4.37%, 구글 3.66%, 페이스북 3.34%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 설명 : 대부분 기술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즉 나스닥 지수가 올라가면 주가가 올라가고 내려가면 주가가 떨어지게 됩니다. 나스닥 시장은 꽤 탄탄하고, 큰 규모의 시장, 우상향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기가 있습니다. QQQ ETF를 운영하는 Invesco는 총 224개의 ETF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운용자산은 300조 원 중 절반 금액인 150조가 QQQ에서 운용될 정도로 Invesco의 핵심 ETF입니다. 최근 매우 높은 수익률로 많은 사람들이 QQQ ETF를 매수를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단, 최근 파월 의장 발언 후 미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주가 하락 시즌이기 때문에 검토를 충분히 하시고 주식 시장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QQ 시리즈 : QQQ 와 QQQM이 존재합니다. QQQM은 QQQ의 Mini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QQQM과 QQQ의 운용 종목은 거의 동일하며, QQQ보다 QQQM이 훨씬 저렴하지만 거래량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금 관련 : 1년에 4번(3월, 6월, 9월, 12월) 배당을 받을 수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0.67%입니다.
수수료 : 연간 운용비용은 0.2%입니다.
참고 사이트 : www.invesco.com
③ SPYG(SPDR S&P500 Growth)
주요 종목 구성 : 애플 11.59%, 마이크로소프트 10.37%, 아마존 7.81%, 페이스북 3.67%, 구글 Class A,C 3.5%, 테슬라 3.10%, NDIDIA 1.97%, 페이팔 1.78%, 넷플릭스 1.45%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2021년 초에 테슬라, 넷플릭스가 추가되었습니다.
간단 설명 : QQQ ETF가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듯이 SPY ETF는 S&P 500지수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SPYG는 성장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스닥을 추종하는 QQQ는 주가가 생각보다 높아서, 저렴하고 종목 구성이 좋은 SPYG ETF 매수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S&P 500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하락장 방어가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PY 시리즈 : SPY ETF는 SPYG, SPYD, SPYV, SPY, SPYX가 있습니다.
-SPYD : 높은 배당을 주는 종목들로 ETF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금융주들이 주종목이며, 필수소비재, 생필품, 에너지, 유틸리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드 머니가 많다면 배당률이 5% 정도인 SPYD에 투자하신다면 꽤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SPYV : SPY나 SPYG는 주로 성장주 중심으로 종목이 포진되어 있지만 SPYV는 주로 가치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치주 중심이기 때문에 금리 상승에 따른 주가 수익률이 높은 편입니다. 배당률은 3%정도이며 SPYD 다음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SPY : 전 세계에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 중 대장급의 ETF입니다. 비싼 편에 속하지만 1993년부터 운용되고 있으며, 매우 안정적인 수익과 우상향 하는 지수를 보실 수 있습니다.
-SPYG : SPY ETF의 동생급, SPY의 주가가 너무 비싸서 저렴한 SPYG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배당금관련 : 1년에 4번(3월, 6월, 9월, 12월) 배당받을 수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31%입니다.
수수료 : 연간 운용비용은 0.04%입니다.
참고 사이트 : www.ssga.com
④ VTI (Vanguard Total Stock Market ETF)
주요 종목 구성 : 애플5.28%, 마이크로소프트 4.37%, 아마존 3.61%, 페이스북 1.71%, 구글 1.38%, 테슬라 1.39%, 존슨 앤 존슨 1.08%, 버크셔 해서웨이 1.07%, 제이피모건 체이스 1.01%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 설명 : VTI는 대략 3,531개의 미국 주식에 분산 투자되어 있는 ETF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형주부터 소형주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시장 전체를 투자하는 ETF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수수료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투자하기 좋은 ETF입니다.
배당금 관련 : 1년에 4번(3월, 6월, 9월, 12월) 배당받을 수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61%입니다.
수수료 : 연간 운용비용은 0.03%입니다.
참고 사이트 : investor.vanguar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