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용어(전문용어) >
EPS(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 값 ( 당기순이익 ÷ 발행한 총 주식수 )
“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다.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
: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
( 주가 ÷ EPS )
“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PER이 낮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마한다.
그러므로, PER이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
ex) A기업의 주가가 6만6000원이고 EPS가 1만2000원이라면 A사의 PER은 5.5가 된다.
BPS(Bookvalue Per Share) ↔ 주당순자산가치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순자산(총자산-부채) ÷ 발행주식수 )
“ BPS에는 주가 정보가 고려돼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얼마나 저평가 혹은 고평가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
PBR(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의 합계)에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
( 전일 보통주 주가 ÷ BPS )
“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 따라서 PBR은 재무내용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의미. ”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투입한 자기자본이 한해 동안 얼마만큼 순수하게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경영효율성을 표시)
: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에서 당기순이익을 나누고 100을 곱한 값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 100
“ 일반적으로 ROE가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 적어도 정기예금 금리는 넘어야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ROE가 시중금리를 밑돌 경우에는 투자자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있다.
특별이익을 많이 내 이익이 늘어난 기업들을 구별해 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ex)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
ROA(Return On Assets) ↔ 총자산순수익률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순이익을 자산(부채+자본)으로 나눈 값
( 당기순이익 ÷ 자산총액 ) × 100
“ ROA와 ROE의 차이가 큰 기업은 부채가 과도한 지 점검할 필요성이 있다. 부채는 곧 레버리지라는 관점에서 볼 때 ROA와 ROE 모두 높은 상황에서는 기업이 레버리지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중 금리 이하의 ROE 혹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ROA와 ROE의 차이가 크다면 결코 안전한 회사라고 볼 수 없다. ”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 ↔ 투하자본이익률
기업이 실제 영업활동에 투입한 자산으로 영업이익을 얼마나 거뒀는지 나타내는 지표(기업의 수익 창출 역량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 세후영업이익(NOPAT) ÷ 순영업자산(투하자본(IC) )
( 법인세전이익(EBIT) ÷ ( (유동자산-유동부채)+(비유동자산-감가상각비) )
ROA ROE ROIC
“ 일반적으로 ROA보다 ROE가 크고 ROE보다 ROIC가 큰 모습을 보인다. ”
EV/EBITDA(Enterprise Value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수익성지표인 주가수익비율(PER)과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지표인 주가현금흐름비율(PCR)을 보완하는 새로운 지표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
( 기업의 시장가치(EV) ÷ 세전영업이익(EBITDA) )
“ EV/EBITDA가 2배라면 그 기업을 시장가격(EV)으로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EBITDA)을 2년간 합하면 투자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 비율이 낮다면 회사의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EV/EBITDA 비율은 업종 및 시계열지표를 비교하여 주가의 수준을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
CAPEX(Capital Expenditures) ↔ 자본적 지출 미래의 이윤 창출, 가치의 취득을 위해 지출된 투자 과정에서의 비용
“ 기업이 고정자산을 구매하거나 유효수명이 당회계년도를 초과하는 기존의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에 돈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 CAPEX는 동종업계 기업끼리 비교할 때 사용을 권한다. 동종업계가 아닐 시 크게 차이가 난다. ”
CPS(Cash-flow Per Share) ↔ 주당현금흐름
한 주가 얼마의 현금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현재의 발행된 총 주식 수로 나눈 값
( 현금흐름 ÷ 발행된 총 주식 수 )
SPS(Sales Per Share) ↔ 주당매출액
한 주가 얼마의 매출을 발생시키는지 알 수 있는 지표
: 기업의 매출액을 발행된 총 주식수로 나눈 값
( 영업활동에 의한 매출 ÷ 발행된 총 주식 수 )
PCR(Price Sales Ratio) ↔ 주가현금흐름비율
주가가 주당 현금흐름의 몇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 현재 주가 ÷ CPS )
PSR(Price Sales ratio) ↔ 주가매출액비율
기업의 성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 데 이용하는 성장성 투자지표
( 현재 주가 ÷ SPS )
DPS(Dividend Per Share) ↔ 주당배당금
한 주당 받을 수 있는 ‘배당금’ / 주식 배당을 주요 수익목적으로 하는 투자 시 중요한 지표
( 총 배당금 ÷ 발행주식수 )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