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 의견 거절
- 회계법인은 실적에 대한 감사의견을 적정, 한정, 부정적, 의견 거절 중 하나로 나타낸다
- 부실기업은 감사 의견 부정적, 의견 거절을 받기 쉬운데 이는 상장폐지와 연결이 될 수 있다.
■ 불성실 공시
- 공시는 기업 내부 정보 공개입니다. 이를 위반(공시 불이행, 번복, 변경)을 하면 불성실 공시입니다.
- 기업의 신뢰도 추락과 제재금, 매매정지 등 불이익이 있으며, 벌점이 많으면 상장폐지까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공매도 증가
- 공매도는 주가하락 예상시 투자전략이며, 주식을 빌려 팔고 나중에 주식으로 되갚는 것을 말합니다.
- 공매도의 세력이 많다는 것은 주가의 하락을 부추기는 사항입니다.
-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주로 하며 대차잔고 증가는 공매도 대기물량 증가로 악재의 연속입니다.
■ 유상증자
- 당기순손실의 누적, 과다한 부채의 증가로 유상증자 주식 관련 사채 발행을 하여 주식 수의 증가는 주가하락으로 연결됩니다.
- 적자의 과다로 주식 수를 줄이는 무상감자를 진행한다. 작아지는 시가총액으로 신규투자자를 모색하게 됩니다.
- 감자로 인해 기존 최대주주 지분이 줄어들어 경영주 교체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환율 유가 금리 인상
- 원화 강세는 수출회사에는 악재, 원자재 수입처는 호재
- 유가상승은 항공, 전력, 여행, 면세점, 해운 등 악재
- 정유, 화학, 조선, 태양광 등 업체는 호재
- 보통의 경우 국내외 금리 인상은 주식시장의 악재, 환율상승은 주식시장의 악재이며 다만 주가는 사람의 심리가 작용하며, 실물경제에서는 여러 변수가 적용되기에 일반론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경우 주요 금융지표들의 상관관계가 강해진다는 점에서 주가하락과 환율 및 금리상승이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예적금 선호도가 올라가는 반면 배당주 매력까지 떨어지게 됩니다.
- 미국 금리 인상은 환율에 영향을 주고 환차손 우려에 외국 투자자 이탈이 이루어져 악재
신용융자, 잔고증가
- 강세장에서는 주식 매수 결제자금 대출인 신용융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보유 주식 등을 담보로 제공되어 주가 하락으로 담보 가치가 떨어지면 반대매매 매물 폭탄으로 돌아올 수 있게됩니다.
■ 투자경고 / 급등 종목 공시
- 주가가 과열 이상으로 급등 시에는 투자경고 종목, 단기과열 완화 장치 발동, 소수지점 과다 종목지정,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등 공시가 나면 주식의 버블로 인하여 세력이든 개미든 주식을 팔고 나오게 됩니다.
- 투자경고 종목 지정으로 신용융자금지, 대영증권 불가, 위탁증거금 100%로 거래량이 줄게되며, 단기과열 완화 장치도 30분 단위로 매매를 해야하니 거래가 힘들어지게 됩니다.